KIM DO HEE
Handcrafted Object
SUYUNSO
Living Studio - Life inside craft
LIVING STIDIO LIFE INSIDE CRAFT
Kim Dohee






작업을 하면서 느꼈던 공예의 아름다움, 손작업이 주는 평온과 집중의 시간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우리의 삶에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자연스러운 손의 움직임의 뜻을 가진 ‘수연소’ (手然所) 를 기획하였습니다.
‘수연소’ 는 누구나 쉽게 공예를 경험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써 손을 통해 창작하고 공예의 가치를 만들어 나가며, 눈에 띄게 화려하지 않아도 조용한 힘을 가진 것들을 제작하고 소개합니다.
작업을 하면서 느꼈던 공예의 아름다움, 손작업이 주는 평온과 집중의 시간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우리의 삶에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자연스러운 손의 움직임의 뜻을 가진 ‘수연소’ (手然所) 를 기획하였습니다.
‘수연소’ 는 누구나 쉽게 공예를 경험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써 손을 통해 창작하고 공예의 가치를 만들어 나가며, 눈에 띄게 화려하지 않아도 조용한 힘을 가진 것들을 제작하고 소개합니다.
작업을 하면서 느꼈던 공예의 아름다움, 손작업이 주는 평온과 집중의 시간을 담은 공간이 우리의 삶에 필요하다는 생각에 자연스러운 손의 움직임이란 뜻을 가진 ‘수연소’ (手然所) 를 기획하였습니다.
‘수연소’ 는 누구나 쉽게 공예를 경험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써 손을 통해 창작하고 공예의 가치를 만들어 나가며, 눈에 띄게 화려하지 않아도 조용한 힘을 가진 것들을 제작하고 소개합니다.
작업을 하면서 느꼈던 공예의 아름다움, 손작업이 주는 평온과 집중의 시간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우리의 삶에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자연스러운 손의 움직임의 뜻을 가진
‘수연소’ (手然所)를 기획하였습니다.
‘수연소’ 는 누구나 쉽게 공예를 경험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써 손을 통해 창작하고 공예의 가치를 만들어 나가며, 눈에 띄게 화려하지 않아도 조용한 힘을 가진 것들을 제작하고 소개합니다.
Suyunso (手然所), meaning “the natural movement of the hand,”
was created from the belief that our lives need spaces where the quiet beauty of craft
and the calm, focused time of handwork can be shared.
Suyunso is an open space where anyone can easily engage with craft.
Through making with our hands, we explore the value of craftsmanship —
creating and introducing works that may not be loud or ornate,
but carry a quiet, enduring strength.
Suyunso (手然所), meaning “the natural movement of hands,” was created from the belief that we need spaces in our lives to share the quiet beauty of craft — the calm and focused moments that arise through handwork.
Suyunso is an open space where anyone can easily engage with craft.
Through making with our hands, we explore the value of craftsmanship — creating and introducing works that may not be loud or ornate, but carry a quiet, enduring strength.
Suyunso (手然所), meaning “the natural movement of the hand,”
was created from the belief that our lives need spaces where the quiet beauty of craft
and the calm, focused time of handwork can be shared.
Suyunso is an open space where anyone can easily engage with craft.
Through making with our hands, we explore the value of craftsmanship —
creating and introducing works that may not be loud or ornate,
but carry a quiet, enduring strength.



suyunso
생동하는 공간
Living Studio
생각과 실험
project
흙
pottery
얽히고설키기
root
완초
wangul
기록물
archive
suyunso
생동하는 공간
Living Studio
생각과 실험
project
흙
pottery
얽히고설키기
root
완초
wangul
기록물
archive
suyunso
생동하는 공간
Living Studio
생각과 실험
project
흙
pottery
얽히고설키기
root
완초
wangul
기록물
archive
suyunso
생동하는 공간
Living Studio
생각과 실험
project
흙
pottery
얽히고설키기
root
완초
wangul
기록물
archive
suyunso
생동하는 공간
Living Studio
생각과 실험
project
흙
pottery
얽히고설키기
root
완초
wangul
기록물
archive
suyunso
생동하는 공간
Living Studio
생각과 실험
project
흙
pottery
얽히고설키기
root
완초
wangul
기록물
archive
suyunso
생동하는 공간
Living Studio
생각과 실험
project
흙
pottery
얽히고설키기
root
완초
wangul
기록물
archive
suyunso
생동하는 공간
Living Studio
생각과 실험
project
흙
pottery
얽히고설키기
root
완초
wangul
기록물
archive








Living Studio. Archive. Project. Root
수연소를 구성하는 단어들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이며,
각각의 형태는 사람과 공예, 자연 사이에서 발견되는 것들의 평면적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목적을 지닌 이들이 이 공간에서 관계를 맺고, 그 안에서 다채로운 경험이 만들어집니다.
작업을 하면서 느꼈던 공예의 아름다움, 손작업이 주는 평온과 집중의 시간을 공유할 수있는 공간이 우리의 삶에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수연소 (手然所) 에서는 손을 통해 스스로 배우고 창작하며, 공예의 가치를 만듭니다.
수연소를 구성하는 단어들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이며, 각각의 형태는 사람과 공예, 자연 사이에서 발견되는 것들의 평면적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목적을 지닌 이들이 이 공간에서 관계를 맺고, 그 안에서 다채로운 경험이 만들어집니다.
The four forms that make up Suyunso move organically together.
Each shape reflects a flattened impression of elements found between people, craft, and nature.
As individuals with different intentions come into connection, a variety of experiences begin to unfold within.
The words that form Suyunso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in motion.
Each shape captures a flattened impression of what exists between people, craft, and nature.
In this space, individuals with different intentions come together, form relationships, and create a rich tapestry of experiences.
















POTTERY
흙
POTTERY
흙
POTTERY
흙
POTTERY
흙
POTTERY
흙
POTTERY
흙
WANGUL
완초
WANGUL
완초
WANGUL
완초
WANGUL
완초
WANGUL
완초
WANGUL
완초
삶 속에서 익숙하고 가까이해온 재료들을 탐구하고 다루고 있습니다.
I work with two kinds of materials that feel close in different ways
Pottery, which resonates with me emotionally, and wangul,
a native material deeply rooted in the place I live.
삶 속에서 익숙하고 가까이해온 재료들을 탐구하고 다루고 있습니다.
I work with two kinds of materials that feel close in different ways
Pottery, which resonates with me emotionally, and wangul, a native material deeply rooted in the place I live.
I work with two kinds of materials that feel close in different ways
Pottery, which resonates with me emotionally, and wangul, a native material
deeply rooted in the place I live.
I work with two kinds of materials that feel close in different ways
Pottery, which resonates with me emotionally, and wangul, a native material deeply rooted in the place I live.
삶 속에서 익숙하고 가까이해온 재료들을 탐구하고 다루고 있습니다.

Ceramic Art.
000 Lamp

Ceramic Art.
000 Lamp

Ceramic Art.
000 Lamp

Ceramic Art.
우연적 성질

Ceramic Art.
우연적 성질

Ceramic Art.
우연적 성질

Ceramic Product.
한 밤중의 식탁

Ceramic Product.
한 밤중의 식탁

Ceramic Product.
한 밤중의 식탁
Ceramic Art. 잉태
Ceramic Art.
000 Lamp
Ceramic Art.
우연적 성질
Ceramic Product.
한 밤중의 식탁
Ceramic Art. 잉태
Ceramic Art.
000 Lamp
Ceramic Art.
우연적 성질
Ceramic Product.
한 밤중의 식탁
Ceramic Art. 잉태
Ceramic Art.
000 Lamp
Ceramic Art.
우연적 성질
Ceramic Product.
한 밤중의 식탁
Ceramic Art. 잉태
Ceramic Art.
000 Lamp
Ceramic Art.
우연적 성질
Ceramic Product.
한 밤중의 식탁























잉태
생명을 잉태한 형상을, 흙을 통해 표현하였습니다.
1.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 수정 후 발달하여 배를 형성한다.
2. 아이나 새끼를 밴 형상, 혹은 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의 애벌레가 성충으로 되는 과정은 불안정하고 비정형적이다.
3. 번데기가 날개 있는 성충이 되었다.
Gestation
A form that bears life—shaped through clay.
1. Rounded, enclosed, and waiting: the egg laid by birds, reptiles, fish, and insects.
A vessel of life, carrying the female reproductive cell, which develops into an embryo after fertilization.
It is a symbol of potential, of becoming.
2. The image of a body bearing life, or the metamorphosis of a larva into its adult form—
unstable, unshaped, unpredictable.
A phase marked not by clarity, but by transformation in flux.
3. The cocoon breaks open.
What once seemed sealed emerges with wings.
잉태
생명을 잉태한 형상을, 흙을 통해 표현하였습니다.
1.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 수정 후 발달하여 배를 형성한다.
2. 아이나 새끼를 밴 형상, 혹은 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의 애벌레가 성충으로 되는 과정은 불안정하고 비정형적이다.
3. 번데기가 날개 있는 성충이 되었다.
잉태
생명을 잉태한 형상을, 흙을 통해 표현하였습니다.
1.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 수정 후 발달하여 배를 형성한다.
2. 아이나 새끼를 밴 형상, 혹은 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의 애벌레가 성충으로 되는 과정은 불안정하고 비정형적이다.
3. 번데기가 날개 있는 성충이 되었다.
Gestation
A form that bears life—shaped through clay.
1. Rounded, enclosed, and waiting: the egg laid by birds, reptiles, fish, and insects.
A vessel of life, carrying the female reproductive cell, which develops into an embryo after fertilization.
It is a symbol of potential, of becoming.
2. The image of a body bearing life, or the metamorphosis of a larva into its adult form—
unstable, unshaped, unpredictable.
A phase marked not by clarity, but by transformation in flux.
3. The cocoon breaks open.
What once seemed sealed emerges with wings.
잉태
생명을 잉태한 형상을, 흙을 통해 표현하였습니다.
1.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 수정 후 발달하여 배를 형성한다.
2. 아이나 새끼를 밴 형상, 혹은 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의 애벌레가 성충으로 되는 과정은 불안정하고 비정형적이다.
3. 번데기가 날개 있는 성충이 되었다.
잉태
생명을 잉태한 형상을, 흙을 통해 표현하였습니다.
1.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 수정 후 발달하여 배를 형성한다.
2. 아이나 새끼를 밴 형상, 혹은 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의 애벌레가 성충으로 되는 과정은 불안정하고 비정형적이다.
3. 번데기가 날개 있는 성충이 되었다.
Gestation
A form that bears life—shaped through clay.
1. Rounded, enclosed, and waiting: the egg laid by birds, reptiles, fish, and insects.
A vessel of life, carrying the female reproductive cell, which develops into an embryo after fertilization.
It is a symbol of potential, of becoming.
2. The image of a body bearing life, or the metamorphosis of a larva into its adult form—
unstable, unshaped, unpredictable.
A phase marked not by clarity, but by transformation in flux.
3. The cocoon breaks open.
What once seemed sealed emerges with wings.








000 Series
‘000 Series’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만들고 반복적으로 이어가는 방식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원초적인 형태를 강조하고 싶어 유리질을 입히지 않은 소지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그대로 드러내고, 서로를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 고온에서도 무너지지 않게 견고해진 원형들의 단정한 곡선을 담아냈습니다.
빛이 흐르는 공간과 시간을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데. 반구를 연결해 구조를 만들던 과정에서 틈 사이로 흐르는 빛을 발견했고 그 가능성을 확장해 조명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우연적 성질
무유 소성을 하였을 때 소지 본연이 주는 느낌이 좋아 물성과 질감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시작된 작업입니다.
거친 흙가래를 쌓아올려 소성을 하던 중 소성권장 온도를 넘어가 불의 힘을 버티지 못 하고 조형이 무너지므로 우연을 통해 다른 기물들을 사이 스스로만 무너져 형태를 갖추었습니다.
쌓아올린 흔적이 보이는 갈라짐과 거친 질감과 모래 속에 있던 알갱이들이 소지와 만나 고온에서 소성되었을 때 나타나는 화학적 반응, 불의 힘을 받으며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과정이 재미있었던 작업입니다.






000 Series
‘000 Series’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만들고 반복적으로 이어가는 방식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원초적인 형태를 강조하고 싶어 유리질을 입히지 않은 소지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그대로 드러내고, 서로를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 고온에서도 무너지지 않게 견고해진 원형들의 단정한 곡선을 담아냈습니다.
빛이 흐르는 공간과 시간을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데. 반구를 연결해 구조를 만들던 과정에서 틈 사이로 흐르는 빛을 발견했고 그 가능성을 확장해 조명으로 제작하였습니다.
The 000 Series begins from a single form—repeated and connected through quiet, meditative processes.
Unglazed surfaces reveal the raw, natural texture of the clay, emphasizing the simplicity of circular forms.
Each piece is strengthened through careful joining and high firing, forming calm, grounded curves.
In the process of building hemispheric shapes, light filtering through the small gaps caught my eye.
This subtle moment expanded into a series of lighting objects—where form, structure, and light come together.
000 Series
‘000 Series’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만들고 반복적으로 이어가는 방식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원초적인 형태를 강조하고 싶어 유리질을 입히지 않은 소지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그대로 드러내고, 서로를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 고온에서도 무너지지 않게 견고해진 원형들의 단정한 곡선을 담아냈습니다.
빛이 흐르는 공간과 시간을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데. 반구를 연결해 구조를 만들던 과정에서 틈 사이로 흐르는 빛을 발견했고 그 가능성을 확장해 조명으로 제작하였습니다.
The 000 Series begins from a single form—repeated and connected through quiet, meditative processes.
Unglazed surfaces reveal the raw, natural texture of the clay, emphasizing the simplicity of circular forms.
Each piece is strengthened through careful joining and high firing, forming calm, grounded curves.
In the process of building hemispheric shapes, light filtering through the small gaps caught my eye.
This subtle moment expanded into a series of lighting objects—where form, structure, and light come together.


한 밤중의 식탁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간에 식탁을 둘러싼 작은 소란과 짙은 분위기를 떠올리며, 그 감정을 테이블 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주전자와 다과를 위한 플레이트, 빛과 향을 위한 것들 로 풀어냈습니다.
















우연적 성질
무유 소성을 하였을 때 소지 본연이 주는 느낌이 좋아 물성과 질감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시작된 작업입니다.
통상적으로 우리는 반들반들하고 잘 빚어진 자기의 형태를 떠올리곤 하지만, 흙을 다루는 과정에서는 거칠고 불완전한 모습이 포착될 때가 많습니다. 저는 원초적인 소지의 모습에서 역동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거친 흙가래를 쌓아올려 소성을 하던 중 소성권장 온도를 넘어가 불의 힘을 버티지 못 하고 조형이 무너졌는데, 우연하게도 다른 기물들을 피해 스스로만 무너져 형태를 갖추었습니다. 쌓아올린 흔적이 보이는 갈라짐과
거친 질감과 모래 속에 있던 알갱이들이 소지와 만나 고온에서 소성되었을 때 나타나는 화학적 반응, 불의 힘을 받으며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과정이 재미있었던 작업입니다.
Accidental Formation
This work began with an exploration of materiality and texture, inspired by the raw surface of unglazed clay after firing.
While we often think of ceramics as smooth and refined, the process of working with clay frequently reveals its rough, imperfect nature. I was drawn to the dynamic beauty found in this primitive, unrefined state.
During one firing, I stacked coarse clay coils into a form. As the kiln temperature exceeded the recommended range, the structure couldn't withstand the heat and collapsed. But unexpectedly, it fell in on itself—avoiding damage to the surrounding pieces—and settled into a shape of its own.
The cracks left from stacking, the gritty texture, and the chemical reactions between sand particles and clay at high temperatures all created a surface shaped by fire. The process moved in an unpredictable direction, which made the experience even more compelling.








한 밤중의 식탁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간에 식탁을 둘러싼 작은 소란과 짙은 분위기를 떠올리며, 그 감정을 테이블 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주전자와 다과를 위한 플레이트, 빛과 향을 위한 것들 로 풀어냈습니다.
At the end of the day, I recall the quiet noise and deep atmosphere that gather around a shared table. That feeling unfolds into objects meant for the table— a jug for pouring, a plate for small offerings, and pieces for holding light and scent.








상호: 수연소(suyunso)
대표: 김도희
전화: 010-2663-0047
이메일: info@suyunso.kr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문안길 2호 (수연소)
사업자등록번호: 207-27-68248
상호: 수연소(suyunso)
대표: 김도희
전화: 010-2663-0047
이메일: info@suyunso.kr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문안길 2호 (수연소)
사업자등록번호: 207-27-68248
상호: 수연소(suyunso)
대표: 김도희
전화: 010-2663-0047
이메일: info@suyunso.kr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문안길 2호 (수연소)
사업자등록번호: 207-27-68248